- 8월 15~23일, 8개국 180여 명 참여 예정
![]() |
아르코예술극장 · 이음센터서 공연, 워크숍 등 진행
전 세계인의 무용축제 ‘제8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KIADA2023(키아다2023)’이 오는 8월 15일부터 8월 23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소극장, 이음센터 이음아트홀 등에서 9일 동안 개최된다. 이번 KIADA2023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를 비롯한 밀알복지재단, 카카오임팩트, 서울시, 서울관광재단,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가 후원으로 함께한다.
KIADA(키아다)는 2016년 세계 최초로 펼쳐진 장애인국제무용제로 무용 창·제작, 교류·협업, 교육, 연구, 유통 등 국내외 장애무용계 선 순환적 체계구축 및 확장을 위한 축제로 글로벌 장애무용예술계 공진화를 선도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총19개국 88개의 다채로운 장애무용 작품을 선보였다.
제8회를 맞이하는 KIADA2023은 국내외 180여 명의 장애무용예술가와 전문가, 봉사자들이 함께한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독일, 스코틀랜드, 캐나다, 인도네시아, 브라질, 일본, 뉴질랜드 총 8개국이 참여하고 19개의 공연작품과 부대행사(개막식, 레지던시, 워크숍, 국제포럼, 네트워킹, 댄스필름상영회, 사진전)가 진행된다.
『Spread The Love+ 심미(心美)』를 슬로건으로 범인류적 삶 속에서 나타나는 불균형 상황에 마음(心)을 더해 변화를 이끌고 소외되는 불평등 모습에 아름다움(美)을 더해 장애인 인식제고를 위한 기회와 사랑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키아다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연대와 상생의 삶 도모하고 우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 활동에 의의를 둔다.
KIADA2023은 공연 참여자와 관객확대를 최대 쟁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운영된다. 공연 참여자의 국가, 민족, 연령, 성별, 직업, 장애유형, 프로단체, 신진 등을 수용하고 관객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아동‧청소년 공연, 다양한 장르, 융‧복합 작품 등을 적용하였다. 장애인 관객과 일반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교통 편의성이 용이한 극장선정, 축제일정 변경 등 진정한 의미의 모두가 함께하는 축제로 개혁을 위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국내작 참여자의 세분화와 다양성 확보를 위해 무용전문단체와 장애무용수 협업, 장애안무가전이 진행된다. 개막작으로 무대에 오르는 경기도무용단(예술감독 김상덕, 안무 최은아)은 장애무용수(김정훈,김희량,장해나,전정아)와 협업을 통해 <메타프리즘>을 선보인다. 이번 작품을 통해 자신의 관점과 한계 그 너머의 이야기로 내면의 경계를 뚫고 나아가 끝내 성장하는 우리의 모습을 담아내며, 장애무용수들은 작품의도 속 감정을 보다 극대화시킬 전망이다. 경기도무용단은 한국 문화와 우리 전통춤의 우수성을 알리는 무용전문단체이다.
장애안무가전은 국내 장애무용계 대표하는 안무가 4인의 삶의 깊이와 사유가 묻어나는 신작으로 구성되고 장애안무가들이 무용수로 등장하며 자신의 고유한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다룬다. 장애와 보이지 않는 갈등을 극복하고 예술가로 우뚝 선 그들의 감동적인 무대는 강성국<보이지 않는 끈>, 한창호<우리의 기원>, 이광석<숨쉬는 껍데기 Part3-마음>, 김원영<현실원칙>이 참여한다.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대회장 손봉호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지나 온 키아다를 통해 희망과 용기를 나누고 힘을 모아 상생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2023년에도 8월은 키아다 개최로 전 세계 장애무용인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달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며, “키아다는 협력과 연대의 소중한 경험을 세계 장애 무용계와 나누는 일에 더욱 힘쓰고 장애 무용가들이 살아가는 오늘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책임과 사명감을 놓지 않게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깊은 포부를 전했다.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KIADA2023 공연 예매는 네이버(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98045/items/5185149)와 아르코예술극장 홈페이지(https://theater.arko.or.kr/Product/OpenNotice/225381?q=null)를 통해 가능하고, 현재 소극장 공연은 전석 매진이다. 자세한 내용은 키아다 공식 홈페이지(https://www.kiada.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지현 편집국장 dsglory3604@nate.com